선택 약정의 경우에도 LTE 요금제로 변경할 수 있어요
선택 약정으로 개통한 경우에는 5G 요금제에서 LTE 요금제로 변경할 수는 있어요.
다만, 이때 꼭 확인해야 하는 것이 있어요. 선택 약정으로 대리점에서 개통한 경우에 대리점과 특정 요금제를 몇 개월 이상 유지하는 조건으로 할인을 받기도 하는데, 이 경우 5G 요금제에서 LTE 요금제로 바꾸면 분쟁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개통하실 때 대리점과 꼭 확인해 보고 개통을 진행해야 해요.
공시 지원금을 받아 개통한 단말기는 변경 시 위약금이 나올 수 있어요
통신 3사 모두 공시 지원금을 받고 개통한 경우, 6개월까지는 5G 요금제에서 LTE 요금제로 변경하면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 6개월 이후에는 위약금 없이 LTE 요금제로 변경 가능해요.
SKT의 경우
45,000원 이하 LTE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공시지원 차액금이 위약금으로 발생해요.
KT의 경우
47,000원 이하 LTE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공시지원 차액금이 위약금을 발생해요.
LG U+의 경우
이 경우에는 정상 해지된 공기계에 사용하던 5G 유심을 넣고 LG U+ 직영점이나 대리점에서 LTE 공기계로 확정 기변을 해요. 5G 스마트폰에LTE 스마트폰으로 기변 사실을 전산상에 등록해야 해요.
완전히 자유롭게 요금을 선택하려면 2년 정도의 약정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해요. 또한 2년이 지나기 전에 해지를 하면 위약금이 나오니 조심하세요.
위약금을 지불하고 알뜰폰 요금제에 가입하는 것이 손해보는 선택은 아닐지 꼭 확인해 보세요.